자유 4

도올주역강해 [11강]

견괘 : 초9,92~95, 상9. 괘상 : 75p~80p. 양위 : 홀수. 음위 : 짝수. 정 : 양위에 양효, 음위에 음효. 부정 : 양위에 음효, 음위에 양효. 건괘에선 양위는 득정, 음위는 부정. '응' : 상괘와 하괘간 반대효.  즉, 초9:94, 92:95, 93:상9 짝이 음양. 비 : 이웃 관계, 95의 비는 상9. 제우스, 바알 : 번개의 신, 농경문화에서 비가 중요. p777~779 : 대상전. 대상전에서의 건괘에 관한 괘사, 천행,건(Sein : 상, 자연, 불, 물, 번개 등)  vs. 자강불식(Sollen : 당위, 도덕, 정치). 하늘의 끊임없는 움직임은 건강하다. 군자는 천행을 본받음으로써 항상 스스로 건강해지길 쉬지 않음, 자연과 도덕의 일치를 추구. 20세기의 분쟁 :  자유..

동양철학 2024.04.28

강신주 장자수업 [44강. 원숭이 이야기 : 조삼모사, 사랑하는 마음의 은밀한 이중성]

정치권의 조삼모사적 정책 등 2000여년동안 곡해.인문학의 핵심 : 사랑과 자유.장자에서 철학적으로 가장 명료한 제물론 : 실질적 논증.도추이야기 : 문이 열려야 길이 만들어진다.너/너와 같이 벽 같은 마음을 지닌 많은 사람,사랑하게 되면 문들 만들것임.문의 필요성 : 내가 나가거나 타인이 들어오거나.제물론편의 교훈을 일깨우는 원숭이 이야기,제물론편의 마지막 부분,장자의 가르침을 못 받아들인 사람에 대한 마지막 애정.그러나, 사랑의 이야기가 아닌 나쁜 사람이 원숭이를 속이는 이야기로 전달.구체적 사례 -> 일반화/이론화.원숭이 키우는 사람이 나쁘면 이해할 수 없는 뒷 내용.-제물론저공(원숭이 키우는 사람)이 원숭이들에게 도토리를 주면서"아침에 셋, 저녁에 넷 주겠다"고 말했다.원숭이들은 모두 노여워했다...

동양철학 2024.03.16

강신주 장자수업 [43강. 여우이야기 : 자유를 지켜보는 전사의 마음]

-대종사남백자규 : "당신은 나이가 많은데도 왜 안색이 어린아이 같습니까?"여우 : "나는 도에 대해 들었습니다."남백자규 : "도는 얻어 배울 수 있는 것입니까?"여우 : "오! 어찌 그럴 수 있겠습니까!그대는 그런 사람이 아닙니다.저 복량의는 성인의 소질은 있으나 성인의 도는 없고,나는 성인의 도는 있지만 성인의 소질은 없습니다.내가 성인의 도를 가르치고자 하면,아마도 그는 진짜 성인이 될 수도 있겠지요!그렇게 되지 않더라도 성인의 도는성인의 소질이 있는 사람에게 알려주는 것 또한 쉬울거요.그에게 알려주고서 내가 그를 지켜보면,그는 3일이 되어 천하를 도외시할거요.그가 천하를 이미 도외시한 후 내가 그를 지켜보면,그는 7일이 되어 외물을 도외시할거요.그가 이미 외물을 도외시한 뒤 내가 그를 지켜보면,..

동양철학 2024.03.13

강신주 장자수업 [19강. 성심 이야기 : 광막지야에서 장자가 본 것]

-제물론대저 성심(이루어진 마음)을 따라 그것을 스승으로 삼는다면, 그 누군들 스승이 없겠는가?어찌 반드시 변화를 알아 마음을 스스로 선택한 자만이 스승이 있겠는가?우매한 자에게도  스승이 있다.아직 마음에서 이루어진 것이 없는데도 시비가 있다는 것은'오늘 월나라에 갔는데 어제 도착했다'는 궤변과 같이 터무니 없다.이는 있지도 않은 것을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어서,있지도 않은 것을 있다고 여기면 설령 신비한 우임금이라도 알 수 없는 일일텐데,나 또한 어찌하겠는가!성심의 핵심 : 정착민적 마음, 성심이 있어야 시비가 있다.인문학을 공부하는 이유 : 더 넓게 생각하기 위함.성심 : 이루어진 마음, 선입견.여행을 못 가니까 책을 보는 것, 가성비 높은 책.우리에게 가장 소중한 경험은 여행 경험.소요유, 유목민에..

동양철학 2024.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