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타기성 2

강신주 무문관 : 주인공으로 살기 [40강]

유식의 3성 변계소집성 : 온갖 분별로 채색된 허구적 차별상, 의타기성 : 온갖 분별을 잇달아 일으키는 인식 작용, 원성실성 : 분별, 망상이 소멸된 상태에서 드러나는 그대로의 청정한 모습, 편견, 과거경험을 벗어난 상태. 교종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는 선종. 내가 생각한 삶이 내 삶이 아닐수도. 내가 생각하는 내 모습과 실제 모습은 다를 수도. 나의 모습은 말과 생각이 아닌 행동에서 찾아야. 사랑이란 의무가 아닌 자연스러움, 내 곁에 있을 때 행복하다는 느낌을 주는 행동. 자크 라캉(프랑스 철학자, 정신분석학자, 언어를 통해 인간의 욕망을 분석하는 이론 정립) :   "나는 생각하는 곳에 존재하지 않고 내가 존재하는 곳에서 생각하지 않는다." 말과 실재의 간극이 크다는 걸 깨닫는 것이 선불교. 언어의 ..

불교 2024.11.17

강신주 무문관 : 주인공으로 살기 [39강]

두카(dukkha) : 고(고통), 삶은 고통의 과정. 살아있는 존재만 행복을 느끼나  그 전제는 고통을 느끼는 것. 자비란 행복을 느끼게 하기 보다 고통을 느끼게 하지 않겠다는 것. 누군가를 행복하게 하는 것은 그 사람의 고통을 완화시켜 주는 것. 행복이란 고통이 잠시 없어진 것. 일체개고 : 무상과 무아를 깨닫지 못하고 영생에 집착하여 온갖 고통에 빠져 있음.26칙 이승권렴 (두 명의 스님이 발을 말아 걸어 올린 것) 점심 공양 전에 스님들이 법당에 들어와 앉자 청량의 대법안 화상은 손으로 발을 가리켰다. 그 때 두 스님이 함께 발을 걷어 올렸다. 그러자 대법안 화상이 말하길, "한 사람은 옳지만 다른 한 사람은 그르다."대법안 화상은 발 너머 보이는  다른 물체를 가리켰을 수도, 두 스님 때문에 대..

불교 2024.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