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 4

강신주 무문관 : 주인공으로 살기 [33강]

사랑 : 그 사람이 원하는 것을 해주고 싶어하는 것, 그 사람이 뭘 좋아하는지 모르면 사랑하는 것 아님. 우리 곁에 존재하는것만으로 큰 힘을 느끼는 것이 사랑. 누군가를 업고 가서 짐이 된다고 생각했는데 그 업고 간 힘이 내가 살아가는 든든한 힘이 된 것. 사랑하는 법을 가르쳐야 한다. 극단적인 이기주의가 불러오는 스토킹 범죄. 고전을 읽고 흉내내려하지 말고 이해하려 하라. 앵무새처럼 떠드는 겉똑똑이는 화두를 못푼다. 선교일치 : 선과 교가 이원적이 아닌 일원적이란 논지.18칙 동산삼근 어느 스님이 묻길, "부처란 무엇입니까?" 동산스님이 말하길, "마 삼근이다."마 : 승복을 만드는 거친 옷감. 마 삼근 :  1) 동산 스님이 마음에 가 있던 대상, 마음이 가 있는 대상이 곧 부처. 2) 승복 하나를 ..

불교 2024.09.28

강신주 장자수업 [44강. 원숭이 이야기 : 조삼모사, 사랑하는 마음의 은밀한 이중성]

정치권의 조삼모사적 정책 등 2000여년동안 곡해.인문학의 핵심 : 사랑과 자유.장자에서 철학적으로 가장 명료한 제물론 : 실질적 논증.도추이야기 : 문이 열려야 길이 만들어진다.너/너와 같이 벽 같은 마음을 지닌 많은 사람,사랑하게 되면 문들 만들것임.문의 필요성 : 내가 나가거나 타인이 들어오거나.제물론편의 교훈을 일깨우는 원숭이 이야기,제물론편의 마지막 부분,장자의 가르침을 못 받아들인 사람에 대한 마지막 애정.그러나, 사랑의 이야기가 아닌 나쁜 사람이 원숭이를 속이는 이야기로 전달.구체적 사례 -> 일반화/이론화.원숭이 키우는 사람이 나쁘면 이해할 수 없는 뒷 내용.-제물론저공(원숭이 키우는 사람)이 원숭이들에게 도토리를 주면서"아침에 셋, 저녁에 넷 주겠다"고 말했다.원숭이들은 모두 노여워했다...

동양철학 2024.03.16

강신주 장자수업 [43강. 여우이야기 : 자유를 지켜보는 전사의 마음]

-대종사남백자규 : "당신은 나이가 많은데도 왜 안색이 어린아이 같습니까?"여우 : "나는 도에 대해 들었습니다."남백자규 : "도는 얻어 배울 수 있는 것입니까?"여우 : "오! 어찌 그럴 수 있겠습니까!그대는 그런 사람이 아닙니다.저 복량의는 성인의 소질은 있으나 성인의 도는 없고,나는 성인의 도는 있지만 성인의 소질은 없습니다.내가 성인의 도를 가르치고자 하면,아마도 그는 진짜 성인이 될 수도 있겠지요!그렇게 되지 않더라도 성인의 도는성인의 소질이 있는 사람에게 알려주는 것 또한 쉬울거요.그에게 알려주고서 내가 그를 지켜보면,그는 3일이 되어 천하를 도외시할거요.그가 천하를 이미 도외시한 후 내가 그를 지켜보면,그는 7일이 되어 외물을 도외시할거요.그가 이미 외물을 도외시한 뒤 내가 그를 지켜보면,..

동양철학 2024.03.13

강신주 장자수업 [33강. 위시 이야기 : 비교하지 않아야 보이는 것들]

위시(비교해서 평가하는 것, 나 중심) vs. 인시(그것에 따를 뿐 비교하지 않는 것).게으른 사람이 배우기 쉬운 철학.​-제물론'위시'는 '가느다란 줄기'와 '굵은 기둥','나병에 걸린 추녀'와 '서시와 같은 미녀' 등을 구별하는 것이다(들 거).사물이 아무리 엉뚱하고 이상야릇하더라도길로 그것과 소통하여 하나가 될 수 있다.'쪼개짐'이 있으면 '완전함'도 있고,'완전함'이 있으면 '망가짐'도 있다.사물에 내가 규정한 '완전함'과 '망가짐'이 없어야그것과 다시 소통해서 하나가 될 수 있다.오직 높은 경지에 도달한 사람만이 소통해서 하나가 될 줄 안다.'위시'를 쓰지 말고 '일상'에 깃들도록 해야 한다.'일상'이란 '사용'을, '사용'이란 '소통'을, 그리고 '소통'이란 바로 '얻음'을 말한다.이런 얻음에..

동양철학 2024.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