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hn Eliot Gardiner 3

베를리오즈(Berlioz) : 죽은자를 위한 대미사(Grande messe des morts)

베를리오즈는 프랑스 전기낭만파 작곡가로서환상교향곡으로 유명하다.이 곡은 내 아내와 뜨거운 연애를 시작했던그 해 11월에 연주했었다.5대 레퀴엠 가운데 하나로서규모로 따지만 가장 큰 규모로서제대로 연주하려면 메인 금관 이외에별도로 동서남북에 배치된4개의 금관밴드가 별도로 필요로 하며16개의 팀파니의 장관도 볼 수 있다.(물론, 실제 연주에서 16개까지 배치하진 못하지만)말러 8번의 천인교향곡에 버금가는인원을 필요로 한다.반면, 베르디 레퀴엠에서의 "Tuba mirum"에선베를리오즈의 스테레오 효과를 매우 간소화하여몇 개의 트럼펫을 별도로 배치하는 정도에 그쳤지만이러한 대규모 편성의 효과는우선 거의 같은 선율로 된 "Tuba mirum"과"Liber scriptus"에서 제대로 누릴 수 있다. 물리적인 악기..

고전음악 2024.06.08

모차르트(Mozart) : 레퀴엠(Requiem)

합창단원으로서 첫 연주곡이 될 뻔했으나리허설까지만 하고 개인사정으로 연주에 못 섰었고그 후 이 곡과 Kyrie d단조 KV 341을 같이 연주했었다.이 곡 역시 예능 및 드라마 배경 음악으로너무나 많이 사용된다.영화 아마데우스에 의해 모차르트와 살리에리의관계가 무척 왜곡되었으나당대엔 살리에리가 훨씬 힘 있는 작곡가여서오히려 모차르트가 경계할 정도였다고 한다.그리고, 모차르트를 암살하기 위한 누군가가레퀴엠 작곡을 의뢰한게 아니고돈 있는 아마추어 작곡가가모차르트가 아닌 자신이 쓴 것처럼 하기 위해몰래 작곡을 의뢰한 것이고.물론, 당사자가 모두 사라진만큼진짜라고 알려진 역사 역시 참인지는 아무도 알 수 없겠지만.전반부에선 그 유명한 "Lacrimosa"(눈물의 날) 8마디까지,"Offertorio" ,  "A..

고전음악 2024.06.08

베토벤(Beethoven) : 장엄미사(Missa solemnis)

베토벤 스스로 자신의 최고의 걸작이라고 했고5년여에 걸쳐 작곡한 곡이다.후원자이자 친구였던 올뮈츠 대주교의 서품을축하기 위한 목적이었으나기한을 넘겨 원래의 목적으로 연주되진 못했다.​대학교 4학년때 교양 음악 수업에서 이 곡에 대해 논문서베이를 해가며 음악감상문을 써서 리포트로 제출하기도 하였고연주회 리플렛에 내가 쓴 글을 간추려 싣기도 했다.​대학교 3학년때 성가대 지휘자님을 통해 이 곡을 접하고1년여간 매일 들으며 심취했던 곡이다.지휘자로서 이 곡을 연주하는 꿈을 꿀 정도로​정기연주회를 통해 전곡을 두 번 불렀었다.​이 곡은 미사곡의 형식을 띄고 있으나사실상 교향악이라고 볼 정도로 매우 기악적이다.가사를 음악에 맞게 분해하여 교리적 서술은 순식간에 넘어가는 반면기악적으로 확장하기 쉬운 가사는 변주의 ..

고전음악 2024.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