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야 2

강신주 무문관 : 주인공으로 살기 [39강]

두카(dukkha) : 고(고통), 삶은 고통의 과정. 살아있는 존재만 행복을 느끼나  그 전제는 고통을 느끼는 것. 자비란 행복을 느끼게 하기 보다 고통을 느끼게 하지 않겠다는 것. 누군가를 행복하게 하는 것은 그 사람의 고통을 완화시켜 주는 것. 행복이란 고통이 잠시 없어진 것. 일체개고 : 무상과 무아를 깨닫지 못하고 영생에 집착하여 온갖 고통에 빠져 있음.26칙 이승권렴 (두 명의 스님이 발을 말아 걸어 올린 것) 점심 공양 전에 스님들이 법당에 들어와 앉자 청량의 대법안 화상은 손으로 발을 가리켰다. 그 때 두 스님이 함께 발을 걷어 올렸다. 그러자 대법안 화상이 말하길, "한 사람은 옳지만 다른 한 사람은 그르다."대법안 화상은 발 너머 보이는  다른 물체를 가리켰을 수도, 두 스님 때문에 대..

불교 2024.11.10

강신주 무문관 : 주인공으로 살기 [9강]

근기(끈기) : 상근기, 중근기, 하근기. 충격과 공포의 지난 화두들과 달리 조주스님은 부드럽다. 37칙 : 정전백수 어느 스님이 "달마 대사가 서쪽에서 온 까닭은 무엇인가요?" 라고 묻자 (선종을 대표하는 물음) 조주스님이 답하길, "뜰 앞의 잣나무!" 선종을 만든건 실질적으로  육조(달마->혜가->승찬->도신->홍인->혜능). 달마대사에 대한 두 가지 기록 :  1) 전설이 된 달마 2) 서역(인도, 페르시아)에서 건너온 달마 육조단경 만화책. 선종의 불립문자 : '이 텍스트가 가장 좋은 것'은 거짓말. 똑같은 질문에 많은 스님들의 다양한 답변들. 화두 하나를 풀기 위해 몇 년간 수행하는 스님들을 생각하면 화두를 쉽게 생각하고 넘어가지 말라. 언어는 뭔가를 미봉책으로 쉽게 넘어가게 하는 경향, 모든 ..

불교 2024.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