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문관 4칙 호자무수 흑암 화상이 말하길, "서쪽에서 온 달마(호자, 서쪽에서 온 오랑캐)는 왜 수염이 없는가?"춘추시대 공자와 그 제자들의 언행을 기록한 논어 학이편, 학이시습지 불역열호 : 어떤 상황, 무슨 질문에 대한 답일까? 전후 맥락이 있는 편부터 읽어야 이해가 쉬움. 논어를 주관적으로 해석하는 것은 위험. 무슨 주제로 대화하고 있는지부터 명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 동양에서 수염이 없는 것은 환관이나 미숙함을 의미. 옛날에 수염은 성숙과 가부장을 상징. 달마의 상징과도 같은 수염. 량 : Pramana, 진리와 인식의 기준 인도에서 주장한 진리를 인식하는 4가지 방법 : 현량(지각) : 감각기관에 의한 직접 경험적 지식. 비량(추리) : 이성에 의한 추리적, 논리적 지식을 진리로 여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