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마 2

강신주 무문관 : 주인공으로 살기 [27강]

무문관 4칙 호자무수 흑암 화상이 말하길, "서쪽에서 온 달마(호자, 서쪽에서 온 오랑캐)는  왜 수염이 없는가?"춘추시대 공자와 그 제자들의 언행을 기록한 논어 학이편, 학이시습지 불역열호 :  어떤 상황, 무슨 질문에 대한 답일까? 전후 맥락이 있는 편부터 읽어야 이해가 쉬움. 논어를 주관적으로 해석하는 것은 위험. 무슨 주제로 대화하고 있는지부터  명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 동양에서 수염이 없는 것은 환관이나 미숙함을 의미. 옛날에 수염은 성숙과 가부장을 상징. 달마의 상징과도 같은 수염. 량 : Pramana, 진리와 인식의 기준 인도에서 주장한 진리를 인식하는 4가지 방법 :  현량(지각) : 감각기관에 의한 직접 경험적 지식. 비량(추리) : 이성에 의한 추리적,  논리적 지식을 진리로 여김..

불교 2024.08.25

강신주 무문관 : 주인공으로 살기 [9강]

근기(끈기) : 상근기, 중근기, 하근기. 충격과 공포의 지난 화두들과 달리 조주스님은 부드럽다. 37칙 : 정전백수 어느 스님이 "달마 대사가 서쪽에서 온 까닭은 무엇인가요?" 라고 묻자 (선종을 대표하는 물음) 조주스님이 답하길, "뜰 앞의 잣나무!" 선종을 만든건 실질적으로  육조(달마->혜가->승찬->도신->홍인->혜능). 달마대사에 대한 두 가지 기록 :  1) 전설이 된 달마 2) 서역(인도, 페르시아)에서 건너온 달마 육조단경 만화책. 선종의 불립문자 : '이 텍스트가 가장 좋은 것'은 거짓말. 똑같은 질문에 많은 스님들의 다양한 답변들. 화두 하나를 풀기 위해 몇 년간 수행하는 스님들을 생각하면 화두를 쉽게 생각하고 넘어가지 말라. 언어는 뭔가를 미봉책으로 쉽게 넘어가게 하는 경향, 모든 ..

불교 2024.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