릴케 2

강신주 무문관 : 주인공으로 살기 [45강]

불교의 매력 : 각자 부처가 될 수 있는 것. 마리너 마리아 릴케(Rainer Maria Rilke), 20세기 오스트리아 시인이자 소설가, '말테의 수기' : 일기 형식의 소설, 한 젋은 시인이 내외적 세계와의 갈등으로 비참하게 몰락해가는 과정을 그린 이야기, "나는 보는 법을 배우고 있다" == 지금까지 '나의 시선'에서 보지 못하고 다른 사람의 시선에서 봤다. 인문학적 정신 : 나는 지금 내가 보고 있는가? '나'이기에 볼 수 있는 것을 봐야 한다. 내가 내 눈으로 보는 것이 '부처'. 내 눈으로 세상을 봐야 나만의 독창적인 글을 씀. 권력과 자본이 원하는대로 봐왔다. 물이 너무 맑으면 물고기가 안 산다. 내가 본 것과 남들이 본 것이 같지만 그 안에서 다르게 느낄 수 있어야.22칙. 가섭찰간 아..

불교 2024.12.22

강신주 장자수업 [25강. 총명 이야기]

총(귀가밝음)명(눈이밝음).장자 철학 : 동아시아의 사유를 계속 흐르게 하는 샘물지식인 대상이 아닌 책, 민중에 대한 애정이 있었던 장자.48가지 이야기 중 3가지만 마음에 남아도 장자 학파의 일원.불교의 핵심 개념 : 에히(Ehi, 여기[싯타르타의 자리]로 와서)파시코( Pasiko, 봐라), 제자에게 외우라고 하는 대신 옆에서 같이 봐주는 불교.인생무상을 외우라고 하는 대신, 꽃이 지는 것을 직접 와서 보고 세상의 무상함을 보라고 함.말로만 아는 것을 넘어 내 삶에 적용할 수 있나?불교에서 자비가 나오는 것 : 영원하지 않기에.성장 과정에서 경쟁하며 변하는 아이, 돈을 벌려면 의대에 가야지->훌륭한 아이다! 나처럼 돈에 연연하는구나!, 하지만 중요한 건 묻지 않는 어른들.장자 : 에히파시코? 아니 그..

동양철학 2024.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