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2

쇼펜하우어의 말 [5]

"삶의 지혜에 대한 격언" :  30대 초반의 저작인 "의지와 표상로서의 세계"와는 달리 중년, 노년의 쇼펜하우어가 일상 생활의 지혜를 집대성한 책. 행복은 자기 안에서 찾아야, 외부의 것들은  내면에 간접적인 감정적 파도를 일으키는데 불과. 일어난 일이 중요한게 아니라 좋은 일, 나쁜 일이든 받아들이는 자세가 중요. 행복과 평온은 내면에 달렸을 뿐. 행복과 고통의 크기는  오직 본성의 척도와 개인적 소양에 의해 결정. 타고난 본성은 변하지 않지만 교육으로 제2의 성격은 만들 수 있어 후천적인 노력으로 행복에 가까워질 수 있음. 행복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건강, 그 다음으로 삶을 지탱하는 본질적 자산인 고상한 인격, 뛰어난 두뇌, 명랑한 마음. 명예, 영광, 지위, 명성 등은 본질적 자산을 대체할 수..

서양철학 2024.06.26

도올주역강해 [14강]

효사는 완벽히 해석하는 것은 원래 불가. 정이천(상수학 반대)의 해석 -> 주희(상수학 도입)의 해석. 종묘(수직), 사직(수평 : 곡물의 신, 땅의 신에 제사). 왕(갈 왕) : 모험(adventure), 미지의 영역으로 나아감. 곤괘 괘사 : 군자는 질서의 세계(cosmos)로부터 미지의 세계(chaos)로 나아하고자 하나 처음엔 모호하여 헤매겠지만 나중엔 주(주인 내지 남자 아님, 명확한 기준)를 통해 이를 얻을 것이다, (서남쪽을 가면 친구를 얻고 동북쪽을 가면 친구를 얻는다). 62 : 직(왜곡 없이 바르고) 방(광활한 평원) 대(보편적 가치)의 덕을 갖춤, 직방대는 원초적, 선천적이어서 배우지 않아도 이롭지 않을 것은 없다. 63 : 함장가정 : 너는 문명의 아름다움을 너의 존재속에 포함하고 ..

동양철학 2024.05.12